필라테스는 몸과 마음에 활력을 불어넣어 준다. 이러한 변화는 필라
테스를 시행해감에 따라 계속적으로 진행된다. 필라테스 운동은 호흡
(Breathing), 중심화(Centering), 집중(Concentration), 조절(Control), 정
확성(Precision), 흐름(Flowing movement) 6가지 기본원리에 기초하고
있다. 이와 같은 원리를 깨닫고 이해하는 것은 더욱 정확하고 효과적
으로 움직임을 실행할 수 있도록 돕는다(2007, 손훈용).

1) 호흡(Breathing)
호흡은 필라테스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원리이다. 과하지 않고 충분 하게 들숨과 날숨을 쉬는 것이 모든 필라테스의 일환이다(Friedman & Eisen, 1980). 필라테스는 정신과 육체를 연결하기 위해 깊고 지속적인 호흡을 수행한다. 호흡은 우리가 태어날 때 시작해서 죽을 때까지 함 께 하는 것으로 필라테스에서 핵심적 요소이다. 조셉 필라테스는 깨 끗한 혈액을 유지하는 것을 매우 중요하게 여겼으며, 체내의 모든 세 포를 일깨우고 피로와 관련된 모든 노폐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 9 - 위한 혈액의 펌프작용을 믿었다. 그는 혈액이 기능을 적절히 수행하 도록 하려면 혈액에 산소를 공급하고 폐기가스를 제거해야 하는데 이 렇게 하려면 적절한 호흡을 해야 한다(Friedman, Philip, Eisen, Gail, 박명숙, 조성희, 2001)고 생각하였다. 조셉 필라테스가 고안해낸 흉곽 호흡법은 일반인이 보통 사용하는 호흡과는 달리 가슴을 내밀거나 어깨를 들어 올리거나 배를 팽창시키 지 않도록 주의하며, 흡기 시에는 흉곽이 확장되어 신선한 공기를 공 급하도록 하고, 호기 시에는 확장된 흉곽이 줄어들며 폐 깊숙한 곳에 남아있던 생기 없는 공기와 유해한 가스들을 밖으로 배출 시킨다 (Siler, Brooke, 전홍조, 정주호, 2001). 호흡을 집중할 경우 스트레칭 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긴장을 이완시킴으로써 최고의 신체조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숨을 깊이 들이쉬고 충분히 내쉼으로서 폐가 운동하여 폐활량이 늘어나고 깊이 이완됨으로써 생기는 긍정적인 효 과도 기대할 수 있다(김전미, 이경주, 김혜진, 2006; Ellie Herman, 2004).

2) 중심화(Centering)
필라테스의 모든 움직임은 중심에서 바깥으로 향하는 방사선처럼 뻗는 움직임이다. 신체의 중심, 즉 배꼽을 척추 쪽으로 당겨 심 복부 를 사용하여 척추, 팔 그리고 다리를 움직이므로(김전미, 이경주, 김혜 진, 2006; Ellie Herman, 2004) 인대와 관절로 가는 긴장을 줄여준다. 필라테스의 파워하우스는 코어라는 의미이다. 파워하우스는 가장 중 심부에 있는 근육을 의미하며, 골반저근, 다열근, 복횡근, 횡경막 4개 - 10 - 의 근육을 의미한다. 파워하우스는 필라테스의 모든 움직임을 수행하 는데 있어서 기본이 된다. 이곳을 강화시킴으로써 파워하우스와 관련 된 근육을 통하여 안정되고 균형 잡힌 골반을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요추를 지지하고 하지의 정렬을 가져와 바른 자세를 이룰 수 있도록 도와준다(Adamany & Loigerot, 2004).

3) 집중(Concentration)
집중은 지금 하고 있는 일이나 대상에 관해서 정신과 주의를 최대 한 기울이는 것이다. 집중하지 않는다면 모든 동작들이 형태와 목적 을 잃어버린다. 조셉 필라테스는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20번 하는 것보다 집중해서 5번 하는 게 더 낫다”라는 말을 자주하였다. 신체 를 의식적으로 조절하기 위해서는 완전한 집중을 요구한다(Lately, 2002). 필라테스를 하기 위해서는 마음에 집중하는 것이 필요하다. 필 라테스와 밀러(1998)는 정확한 동작 수행에 집중 할 것을 요구하였다. 필라테스 운동은 단순히 움직임을 흉내 내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몸 과 운동 과정에 집중함으로써 신체변화를 이루도록 도와준다. 따라서 필라테스를 수행하는 동안에 마음을 안정시킨 상태에서 자신의 움직 임에 따라 신체의 근육이 어떻게 반응하는지에 집중해야 한다(김덕 영, 2005).

4) 조절(Control)
조절은 모든 동작을 취할 때 형태와 움직임을 이해하고 그 동작을 - 11 - 유지하는 상태이다. 조셉이 살아있는 동안에는 필라테스를 ‘컨트롤 로지(조절학)’라고 표현하기도 했다. 필라테스는 스트레치(stretch)와 힘(strength)의 조절과 함께 적절히 조합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Adamany & Loigerot, 2004). 조셉 필라테스는 근육을 자유자재로 조 절한다는 생각으로 필라테스를 만들었다(Siler, 2001). 운동의 최대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조절 요소가 아주 중요하며, 모 든 동작마다 조절되어지는 움직임은 운동의 효과를 줄 뿐만 아니라 반동 없이 중심 안정화를 위해 몸의 균형을 조절하고 통제해야 한다 (윤여진, 2010). 이처럼 필라테스를 실행하는 순간에는 구체적인 부 분까지 각 동작의 모든 측면에 집중하여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이 와 같은 조절은 파워하우스(power house)라고 불리는 몸의 중심에서 부터 시작된다(Adamany & Loigerot, 2004). 만약 이와 같은 동작의 조절이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을 경우에는 부상이 발생 할 수 있는 위험성도 있다.

5) 정확성(Precision)
모든 동작을 취할 때는 그 동작이 시작되고 끝나는 곳을 정확하게 알아야 한다. 모든 필라테스 동작에는 몸의 위치에 대한 정확한 정의 가 있다. 다리의 각도, 팔꿈치의 위치, 머리와 목의 자세, 심지어는 손 가락의 역할까지도 정확해야 한다. 그러한 작은 요소들이 필라테스 요법 안에 존재하며 이러한 정확성은 개인의 생활에서도 반영된다(김 전미, 이경주, 김혜진, 2006; Ellie Herman, 2004). 따라서 조절을 통하 여 한 가지 동작이라도 정확하고 완벽하게 수행하여 운동의 양 - 12 - (quantity)이 아닌 질(quality)에 초점을 맞추도록 한다(Adamany & Loigerot, 2004).

6) 흐름(Flowing movement)
필라테스는 각 동작이 최소한의 움직임과 강력한 에너지를 수반 한
채 다음동작으로 물 흐르듯 넘어가도록 고안되었다. 그러므로 필라테
스는 조화를 이루지 못하거나 불편한 동작이 없으며, 각 동작은 우아
해 보이는 동시에 근육을 충분히 이완 시켜준다(Stewart, 2002). 정적
인 운동은 절대 없으며, 동작의 정확성과 흐름에 집중하다보면, 동작
과 호흡이 일치되고, 조절능력과 근 감각의 인식능력을 향상시켜준다. 이렇게 되면 한 운동에서 다른 운동으로 부드럽게 옮겨가는 것이 가
능해지며 모든 동작에는 긴장이 없어야 한다. 절대 이상하거나 고통
스러운 자세를 몸을 강요해서 하지 않도록 한다(2010, 윤여진).
필라테스는 몸과 마음에 활력을 불어넣어 준다. 이러한 변화는 필라 테스를 시행해감에 따라 계속적으로 진행된다. 필라테스 운동은 호흡 (Breathing), 중심화(Centering), 집중(Concentration), 조절(Control), 정 확성(Precision), 흐름(Flowing movement) 6가지 기본원리에 기초하고 있다. 이와 같은 원리를 깨닫고 이해하는 것은 더욱 정확하고 효과적 으로 움직임을 실행할 수 있도록 돕는다(2007, 손훈용).
1) 호흡(Breathing)
호흡은 필라테스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원리이다. 과하지 않고 충분 하게 들숨과 날숨을 쉬는 것이 모든 필라테스의 일환이다(Friedman & Eisen, 1980). 필라테스는 정신과 육체를 연결하기 위해 깊고 지속적인 호흡을 수행한다. 호흡은 우리가 태어날 때 시작해서 죽을 때까지 함 께 하는 것으로 필라테스에서 핵심적 요소이다. 조셉 필라테스는 깨 끗한 혈액을 유지하는 것을 매우 중요하게 여겼으며, 체내의 모든 세 포를 일깨우고 피로와 관련된 모든 노폐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 9 - 위한 혈액의 펌프작용을 믿었다. 그는 혈액이 기능을 적절히 수행하 도록 하려면 혈액에 산소를 공급하고 폐기가스를 제거해야 하는데 이 렇게 하려면 적절한 호흡을 해야 한다(Friedman, Philip, Eisen, Gail, 박명숙, 조성희, 2001)고 생각하였다. 조셉 필라테스가 고안해낸 흉곽 호흡법은 일반인이 보통 사용하는 호흡과는 달리 가슴을 내밀거나 어깨를 들어 올리거나 배를 팽창시키 지 않도록 주의하며, 흡기 시에는 흉곽이 확장되어 신선한 공기를 공 급하도록 하고, 호기 시에는 확장된 흉곽이 줄어들며 폐 깊숙한 곳에 남아있던 생기 없는 공기와 유해한 가스들을 밖으로 배출 시킨다 (Siler, Brooke, 전홍조, 정주호, 2001). 호흡을 집중할 경우 스트레칭 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긴장을 이완시킴으로써 최고의 신체조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숨을 깊이 들이쉬고 충분히 내쉼으로서 폐가 운동하여 폐활량이 늘어나고 깊이 이완됨으로써 생기는 긍정적인 효 과도 기대할 수 있다(김전미, 이경주, 김혜진, 2006; Ellie Herman, 2004).
2) 중심화(Centering)
필라테스의 모든 움직임은 중심에서 바깥으로 향하는 방사선처럼 뻗는 움직임이다. 신체의 중심, 즉 배꼽을 척추 쪽으로 당겨 심 복부 를 사용하여 척추, 팔 그리고 다리를 움직이므로(김전미, 이경주, 김혜 진, 2006; Ellie Herman, 2004) 인대와 관절로 가는 긴장을 줄여준다. 필라테스의 파워하우스는 코어라는 의미이다. 파워하우스는 가장 중 심부에 있는 근육을 의미하며, 골반저근, 다열근, 복횡근, 횡경막 4개 - 10 - 의 근육을 의미한다. 파워하우스는 필라테스의 모든 움직임을 수행하 는데 있어서 기본이 된다. 이곳을 강화시킴으로써 파워하우스와 관련 된 근육을 통하여 안정되고 균형 잡힌 골반을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요추를 지지하고 하지의 정렬을 가져와 바른 자세를 이룰 수 있도록 도와준다(Adamany & Loigerot, 2004).
3) 집중(Concentration)
집중은 지금 하고 있는 일이나 대상에 관해서 정신과 주의를 최대 한 기울이는 것이다. 집중하지 않는다면 모든 동작들이 형태와 목적 을 잃어버린다. 조셉 필라테스는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20번 하는 것보다 집중해서 5번 하는 게 더 낫다”라는 말을 자주하였다. 신체 를 의식적으로 조절하기 위해서는 완전한 집중을 요구한다(Lately, 2002). 필라테스를 하기 위해서는 마음에 집중하는 것이 필요하다. 필 라테스와 밀러(1998)는 정확한 동작 수행에 집중 할 것을 요구하였다. 필라테스 운동은 단순히 움직임을 흉내 내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몸 과 운동 과정에 집중함으로써 신체변화를 이루도록 도와준다. 따라서 필라테스를 수행하는 동안에 마음을 안정시킨 상태에서 자신의 움직 임에 따라 신체의 근육이 어떻게 반응하는지에 집중해야 한다(김덕 영, 2005).
4) 조절(Control)
조절은 모든 동작을 취할 때 형태와 움직임을 이해하고 그 동작을 - 11 - 유지하는 상태이다. 조셉이 살아있는 동안에는 필라테스를 ‘컨트롤 로지(조절학)’라고 표현하기도 했다. 필라테스는 스트레치(stretch)와 힘(strength)의 조절과 함께 적절히 조합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Adamany & Loigerot, 2004). 조셉 필라테스는 근육을 자유자재로 조 절한다는 생각으로 필라테스를 만들었다(Siler, 2001). 운동의 최대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조절 요소가 아주 중요하며, 모 든 동작마다 조절되어지는 움직임은 운동의 효과를 줄 뿐만 아니라 반동 없이 중심 안정화를 위해 몸의 균형을 조절하고 통제해야 한다 (윤여진, 2010). 이처럼 필라테스를 실행하는 순간에는 구체적인 부 분까지 각 동작의 모든 측면에 집중하여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이 와 같은 조절은 파워하우스(power house)라고 불리는 몸의 중심에서 부터 시작된다(Adamany & Loigerot, 2004). 만약 이와 같은 동작의 조절이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을 경우에는 부상이 발생 할 수 있는 위험성도 있다.
5) 정확성(Precision)
모든 동작을 취할 때는 그 동작이 시작되고 끝나는 곳을 정확하게 알아야 한다. 모든 필라테스 동작에는 몸의 위치에 대한 정확한 정의 가 있다. 다리의 각도, 팔꿈치의 위치, 머리와 목의 자세, 심지어는 손 가락의 역할까지도 정확해야 한다. 그러한 작은 요소들이 필라테스 요법 안에 존재하며 이러한 정확성은 개인의 생활에서도 반영된다(김 전미, 이경주, 김혜진, 2006; Ellie Herman, 2004). 따라서 조절을 통하 여 한 가지 동작이라도 정확하고 완벽하게 수행하여 운동의 양 - 12 - (quantity)이 아닌 질(quality)에 초점을 맞추도록 한다(Adamany & Loigerot, 2004).
6) 흐름(Flowing movement)
필라테스는 각 동작이 최소한의 움직임과 강력한 에너지를 수반 한 채 다음동작으로 물 흐르듯 넘어가도록 고안되었다. 그러므로 필라테 스는 조화를 이루지 못하거나 불편한 동작이 없으며, 각 동작은 우아 해 보이는 동시에 근육을 충분히 이완 시켜준다(Stewart, 2002). 정적 인 운동은 절대 없으며, 동작의 정확성과 흐름에 집중하다보면, 동작 과 호흡이 일치되고, 조절능력과 근 감각의 인식능력을 향상시켜준다. 이렇게 되면 한 운동에서 다른 운동으로 부드럽게 옮겨가는 것이 가 능해지며 모든 동작에는 긴장이 없어야 한다. 절대 이상하거나 고통 스러운 자세를 몸을 강요해서 하지 않도록 한다(2010, 윤여진).